중국 기업들, 프리미엄 제품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다

profile_image
writer

창업뉴스


reply

0

hit

163

date 23-12-04 01:17

d83d51159b7c9be24ec3092c31beb8ed_1761303363_8937.jpg
중국 기업들이 중저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힘을 보여주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프리미엄 제품 시장에서도 활약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첨단 모바일용 D램 개발과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삼성과 LG와의 격차를 1~3년 안팎으로 좁히고 있다고 분석되고 있다. 특히 중국 기업들은 기술 투자와 함께 저가 판매를 핵심 전략으로 채택하고 있어, 한국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수익성이 악화될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D램 업체인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는 최근 중국 최초의 LPDDR5(저전력 더블데이트레이트5) D램을 생산했다고 발표했다. LPDDR5 D램은 스마트폰 등 모바일 제품에 사용되는 저전력 D램이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2019년과 2021년에 양산을 시작했다. CXMT는 자사의 LPDDR5가 샤오미, 트랜션 등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로부터 품질 인증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중국 기업들은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중국의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인 룽손은 지난달 28일 차세대 중앙처리장치(CPU)인 3A6000을 공개했다. 중국 언론들은 "세계 1위 CPU 업체 미국 인텔의 2020년 CPU와 성능이 동일하다"고 전했다.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중국 기업들은 한국 기업들에게 경쟁을 벌이고 있다. 액정표시장치(LCD) 시장에서 이미 한국 기업들을 앞지르고 있는 중국 기업들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관련해 야심을 숨기지 않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중국 1위 패널 제조사인 징둥팡(BOE)이 있다.

BOE는 최근 중국 사천성 청두에 약 11조원을 투자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OLED 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다. 이로써 삼성의 OLED 생산 능력의 3배에 해당하는 규모를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기업들의 중저가 전략과 기술 투자를 통해 성장하고 있는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Like

0

Upvote

0

김한*


정말 대책없네요.

신영*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 멋지네요

홍한*


이런 소식 정말 좋아요.

No comments yet.

디씨엠 인공지능 개발, AI, SEO최적화 백링크 홈페이지 제작
seo최적화 백링크 전문 - SEO100.com 홈페이지 제작
스마트리퍼몰 - 중고폰매입,아이패드중고매입,맥북중고,박스폰,중고폰 매입 판매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