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 교수,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로부터 2023년 신진연구자상 수상

광운대학교,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 ‘2023년 신진연구자상’ 수상
광운대학교는 김현수 전자공학과 교수가 최근 (사)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로부터 ‘2023년 신진연구자상’을 수상했다고 15일 밝혔다.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는 MEMS와 나노 시스템 분야 학술연구는 물론 관련 기술을 발전시키고 보급하는 학회로 알려져 있다. 학회에서는 정보통신(IT), 바이오 메디컬(BT·MT), 환경 및 에너지 (CT·ET)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신진연구자상은 학회 회원 중 기준일로부터 만 40세 이하이거나 박사학위 취득 후 10년 이하인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이번에 김 교수는 단독 교신저자로 발표한 논문과 기술개발 사업화 실적 등을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김 교수는 미국 텍사스 A&M대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에 부임했다. 현재 그는 KW-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장, 한국바이오칩학회 및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 이사, 국가표준위원, 글로벌기술협력지원단위원,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보건복지부 의료기기위원회 전문가 등 다양한 직무를 맡고 있는 중이다.
광운대학교는 김현수 전자공학과 교수가 최근 (사)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로부터 ‘2023년 신진연구자상’을 수상했다고 15일 밝혔다.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는 MEMS와 나노 시스템 분야 학술연구는 물론 관련 기술을 발전시키고 보급하는 학회로 알려져 있다. 학회에서는 정보통신(IT), 바이오 메디컬(BT·MT), 환경 및 에너지 (CT·ET)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신진연구자상은 학회 회원 중 기준일로부터 만 40세 이하이거나 박사학위 취득 후 10년 이하인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이번에 김 교수는 단독 교신저자로 발표한 논문과 기술개발 사업화 실적 등을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김 교수는 미국 텍사스 A&M대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에 부임했다. 현재 그는 KW-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장, 한국바이오칩학회 및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 이사, 국가표준위원, 글로벌기술협력지원단위원,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보건복지부 의료기기위원회 전문가 등 다양한 직무를 맡고 있는 중이다.
Like
0
Upvote0
박성*
좋은 정보 담아갑니다.
김홍*
이게 나라냐!!
김한*
정말 대책없네요.
No comments y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