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배터리 업체 필에너지, 게임체인저 4680 배터리에 주목

                        한국 배터리 기업 필에너지의 대표인 김광일은 배터리 엔지니어 1세대로 알려져 있다. 그는 1998년에 나온 소형 2차전지에서 니켈수소 배터리가 리튬이온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직접 체험해왔다. 김 대표는 배터리의 "게임체인저"로 불리는 4680 배터리에 주목하고 있다. 테슬라가 주도하는 이 배터리는 다양한 배터리 셀 업체들이 현재 개발에 힘쓰고 있다. 김 대표는 지난 22일 "4680 배터리 선도 기업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자신의 기대를 밝혔다.
필에너지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으로, 스태킹과 레이저 노칭 장비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스태킹 장비는 2차전지의 분리막과 양극·음극을 겹겹이 쌓는 적층(積層) 공정에 사용된다. 필에너지는 이 장비를 삼성SDI에게 독점 공급하고 있다. 레이저 노칭 장비는 배터리를 구성하는 금속박의 활물질(리튬이온을 흡수·방출하면서 전기를 저장하거나 생성하는 소재)을 올린 양극·음극의 탭 형상을 가공하는 노칭 공정에 사용된다. 필에너지의 레이저 노칭은 프레스 노칭과는 달리 금형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소모품이 필요하지 않아 유지비용도 적다.
필에너지는 2020년에는 매출 174억원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은 34억원의 적자를 보였다. 그러나 2021년에는 매출이 1651억원, 영업이익이 74억원으로 크게 성장했으며, 작년에는 매출이 1897억원, 영업이익은 168억원에 달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올해 3분기까지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342억원과 94억원을 기록하였다.
필에너지는 지난해 기준으로 매출의 90% 이상을 삼성SDI로부터 창출하고 있다. 삼성SDI가 설비를 확대하면서 필에너지에게 기회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필에너지의 레이저 노칭 기술은 이러한 낙수효과를 더욱 증대시켜준다.
                
        
        
                필에너지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으로, 스태킹과 레이저 노칭 장비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스태킹 장비는 2차전지의 분리막과 양극·음극을 겹겹이 쌓는 적층(積層) 공정에 사용된다. 필에너지는 이 장비를 삼성SDI에게 독점 공급하고 있다. 레이저 노칭 장비는 배터리를 구성하는 금속박의 활물질(리튬이온을 흡수·방출하면서 전기를 저장하거나 생성하는 소재)을 올린 양극·음극의 탭 형상을 가공하는 노칭 공정에 사용된다. 필에너지의 레이저 노칭은 프레스 노칭과는 달리 금형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소모품이 필요하지 않아 유지비용도 적다.
필에너지는 2020년에는 매출 174억원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은 34억원의 적자를 보였다. 그러나 2021년에는 매출이 1651억원, 영업이익이 74억원으로 크게 성장했으며, 작년에는 매출이 1897억원, 영업이익은 168억원에 달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올해 3분기까지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342억원과 94억원을 기록하였다.
필에너지는 지난해 기준으로 매출의 90% 이상을 삼성SDI로부터 창출하고 있다. 삼성SDI가 설비를 확대하면서 필에너지에게 기회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필에너지의 레이저 노칭 기술은 이러한 낙수효과를 더욱 증대시켜준다.
            Like
                
    0
Upvote0
홍한*
이런 소식 정말 좋아요.
김한*
좋은 뉴스 담아갑니다.
박성*
좋은 정보 담아갑니다.
No comments y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