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센,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운영 사업자로 선정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아이티센이 이끄는 부산BDX컨소시엄으로 설립 및 운영 사업자로 선정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을 위한 사업자로 아이티센이 이끄는 부산BDX컨소시엄이 선정되었다. 부산BDX컨소시엄은 NFT(대체불가토큰) 및 탄소배출권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 거래를 위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 14일, 아이티센은 위메이드와의 경쟁에서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부산BDX컨소시엄은 다음 달 중으로 부산광역시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본격적인 운영 준비에 돌입할 것이다.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는 2024년부터 디지털 상품 거래를 시작하여 부산의 물류, 문화, 금융 기반을 활용하여 다양한 자산을 디지털화하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는 100% 민간자체 투자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며, 가상화폐 거래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토큰증권(ST)은 2025년부터, 가상자산은 2026년부터 각각 거래가 시작될 예정이다.
아이티센은 아이티센 그룹 및 자회사인 콤텍시스템, 쌍용정보통신, 시큐센과 함께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을 위해 네트워크 인프라, AI(인공지능), 클라우드, 양자암호 기술 및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의 센골드 서비스와 같은 실물 자산 디지털화 노하우를 활용하여 거래소의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아이티센은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과 운영을 통해 STO(토큰증권발행)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것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STO 시장은 2030년까지 367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아이티센은 최근 100억원 규모의 하나증권 STO 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하였으며, 지엔비에스 에코와도 MOU를 체결하여 에너지 멀티플렉스 기반 STO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의 설립과 운영을 통해 아이티센은 디지털 자산 거래 분야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을 위한 사업자로 아이티센이 이끄는 부산BDX컨소시엄이 선정되었다. 부산BDX컨소시엄은 NFT(대체불가토큰) 및 탄소배출권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 거래를 위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 14일, 아이티센은 위메이드와의 경쟁에서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부산BDX컨소시엄은 다음 달 중으로 부산광역시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본격적인 운영 준비에 돌입할 것이다.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는 2024년부터 디지털 상품 거래를 시작하여 부산의 물류, 문화, 금융 기반을 활용하여 다양한 자산을 디지털화하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는 100% 민간자체 투자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며, 가상화폐 거래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토큰증권(ST)은 2025년부터, 가상자산은 2026년부터 각각 거래가 시작될 예정이다.
아이티센은 아이티센 그룹 및 자회사인 콤텍시스템, 쌍용정보통신, 시큐센과 함께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을 위해 네트워크 인프라, AI(인공지능), 클라우드, 양자암호 기술 및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의 센골드 서비스와 같은 실물 자산 디지털화 노하우를 활용하여 거래소의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아이티센은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과 운영을 통해 STO(토큰증권발행)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것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STO 시장은 2030년까지 367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아이티센은 최근 100억원 규모의 하나증권 STO 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하였으며, 지엔비에스 에코와도 MOU를 체결하여 에너지 멀티플렉스 기반 STO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의 설립과 운영을 통해 아이티센은 디지털 자산 거래 분야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기대된다.
            Like
                
    0
Upvote0
김한*
좋은 뉴스 담아갑니다.
한혜*
정말 미래적인 기술이네요. 어서 빨리 상용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박성*
좋은 정보 담아갑니다.
No comments yet.






